News & Activities
-
이관형 교수 연구팀, 단결정 2차원 반도체 제작을 위한 새로운 합성법 개발
이관형 교수 연구팀(제 1저자: 문동훈 박사과정)이 대면적 단결정 2차원 반도체 박막 제조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하였다. 기판과 증착하는 박막의 결정구조와 격자상수가 유사해야 하는 기존의 “Epitaxy”..
-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주영창 교수 한국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 회장 선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주영창 교수가 한국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 제16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임기는 2025년 1월부터 2년간이다. 한국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는 1993년 설립되어 전자부품의 제조에 ..
-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주영창 교수, 한국인 최초로 미국재료학회(MRS) 회장 당선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주영창 교수,1만 3000여명 회원 보유한 세계 최대 규모의 미국재료학회 이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을 역임한 주영창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세계..
-
강기훈 교수 연구팀,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형성 메커니즘 기반 트랜지스터 성능 향상법 개발
재료공학부 강기훈 교수 연구팀,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형성 메커니즘 기반 트랜지스터 성능 향상법 개발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강기훈 교수, 물리천문학부 이탁희 교수 연구팀 (제1저자: 공태현 학부생, 김용진 박사과정)이 ..
-
강승균 교수 연구팀, 뇌졸중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한 세계 최고 수준 민감도 유연 센서 개발
미세균열과 메타구조 결합으로 초고감도 변형률 센서 기술 구현 강승균 교수 연구팀의 생분해성 메타균열을 이용한 초고감도 변형률 센서 기술이 ‘Science Advances’ 학술지에 출판되었다. 이번..
-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서용석 교수 고농도 현탁액에서 최대 입자 충진률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모델개발
우리는 현탁액에서 최대 입자 충진률(ϕmax)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충진입자의 모든 부피 분율에서 조건 없이 현탁액 점도를 모델링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실..
-
강승균 교수 연구팀, 사용 후 친환경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개발
일회성 전자패치(Disposable E-Patch) 위한 생분해성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강승균 교수 연구팀의 생분해성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제작 기술이 ‘Npj Flexible Electronics’..
-
강승균 교수 연구팀, 실시간 건강 모니터링이 가능한 생체 내 완전 생분해 초고감도 센서 개발
심뇌혈관 미세변형 실시간 감지가 가능한 생분해성 균열 기반 변형률 센서 기술 제시 강승균 교수 연구팀의 생분해성 초고감도 균열 기반 변형률 센서 기술이 ‘Advanced Functional Mate..
-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유경민 학생, 투명 전극 연구로 美 세라믹학회 ‘알프레드 쿠퍼 장학상’ 수상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유경민 학생, 투명 전극 연구로 美 세라믹학회 ‘알프레드 쿠퍼 장학상’ 수상 - 연구 인턴십 통해 학부생 신분으로 SCIE급 학술지 논문 게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재료공..
-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서용석 교수 연구팀 상온 고성능 자기전기변환 재료및 공정개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서용석 교수 연구팀상온 고성능 자기전기변환 재료및 공정개발자기장과 전기장이 물질 내부에서 상호작용하는 자기전기효과(Magnetoelectric Effect)(ME)는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지니..